IT

[정보] 구글링 / 구글 검색 방법 (기간, 파일 확장자 설정)

ruming 2025. 2. 4. 16:44

구글에는 효과적인 구글링을 위한 검색 도구와 필터를 제공한다. 구글링 했을 때 원하는 정보가 뜨지 않으면 굉장히 답답한데, 이 때 특정 기간을 설정하거나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검색할 수가 있다. 필터 및 도구 사용 방법을 알아보자.

 

 

더 정확한 Google 검색 결과 얻기 - Google 검색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참고로 구글 공식 페이지에도 나와 있긴 한데 모든 기능을 알려주지는 않는 것 같다. 사람들이 알아낸 여러 구글 검색 명령어를 실험해봤으나 작동하는 것도 있는반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명령어도 있었다. 잘 작동하는 명령어 중에서 자주 사용할만한 명령어만 모아봤다.

 

한눈에 보기

명령어 기능
after:YYYY-MM-DD, before:YYYY-MM-DD after:특정 기간 이후, before:특정 기간 이전의 글을 검색. 두 개를 함께 사용할 경우 특정 기간 내의 글을 검색 가능. (before:YYYY after:YYYY)
site:youtube.com 입력한 사이트의 검색 결과만 보여줌 (youtube.com, tistory.com, naver.com 등 사용 가능)
filetype:pdf / ext:pdf 입력한 파일 확장자 결과만 보여줌 (pdf나 ppt 파일만 검색하고 싶을 때)
intitle:키워드, inurl:키워드 사이트 제목 혹은 url에 키워드가 포함된 결과를 보여줌
"키워드" 키워드가 포함된 결과를 보여줌
-키워드 키워드를 제외한 결과를 보여줌
키워드1 and 키워드2 (AND도 가능) 키워드1과 키워드2가 함께 포함된 결과를 보여줌
키워드1 OR 키워드2 키워드1 혹은 키워드2 둘 중에 하나만 포함된 결과를 보여줌
* (예: 카드 *기) 단어를 대체해서 보여줌 (카드 리더기, 카드 단말기 등 카드 ~기에 대한 결과)

        : 사용자가 입력

 

검색 기간 설정 방법

특정 기간 이후, 이전, 혹은 그 사이에 업로드된 정보를 얻고 싶다면 after와 befor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after:YYYY-MM-DD
before:YYYY-MM-DD

연도뿐만 아니라 날짜까지 특정할 수 있다. 명령어와 날짜 사이는 띄어쓰기 없이 입력한다.

 

[사용 예시]

after:2022-10-10 별자리 운세
-> 2022년 10월 10일 이후 발행된 '별자리 운세'에 관련된 글을 검색
before:2010 지구종말
-> 2010년 전에 발행된 '지구종말'에 관련된 글을 검색
after:2010 before:2012 혈액형 궁합
-> 2010~2012년 사이에 발행된 '혈액형 궁합'에 관련된 글을 검색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발행된 맛집 글을 보고 싶다면 이렇게 검색할 수 있다. 오늘은 2025년 2월 4일이므로 2025년 2월 1일 이후로 발행된 글을 검색해보겠다.

이렇게 따끈따끈하게 올라온 새 글을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10년 ~ 2012년 사이에 나왔던 신작 영화를 검색해보자.

 

명령어를 사용하기 귀찮다면 간단하게 도구를 사용하는 방식도 있다. 검색창 우측에 있는 '도구' 버튼을 클릭하면 언어, 날짜, 일치하는 결과를 설정할 수 있다. 1시간, 1일, 1주, 1개월, 1년까지 빠르게 필터링 할 수 있다. 보통 유입이 많은 글이 가장 상단에 뜨기 때문에 최신 글이 뜨지 않을 때가 많은데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간 설정을 클릭하면 원하는 날짜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기간 맞춤설정은 오히려 명령어로 입력하는 게 더 빠른 것 같다.

 

1년 내 발행된 최신 글을 찾고 싶다면 도구를 사용하는 게 빠르고, 특정 기간을 검색하고 싶다면 after와 before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참고로 2012..2015 이런 식으로 ..을 사용한다는 정보도 있었는데 사용해보니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

 

 

특정 사이트 내에서 검색

site:{site domain}
예) site:youtube.com
예) site:naver.com
예) site:tistory.com

사이트 도메인을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만 보여준다.

유튜브 사이트 검색결과만 보고 싶을 때:

 

 

특정 파일 타입을 검색 (pdf, ppt 등)

filetype:{파일 확장자}
예) filetype:pdf / ext:pdf
예) filetype:ppt / ext:ppt

특정 파일 확장자만 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filetype 또는 ext 명령어를 사용.

 

 

사이트 제목, url 내에서 검색

intitle:{키워드}
inurl:{키워드}
예) intitle:사과

intitle은 사이트의 제목에 키워드가 포함된 결과를, inurl은 url 안에 키워드가 포함된 결과를 보여준다. inurl과 site는 비슷해보이지만 site는 youtube, tistory처럼 한 사이트 안에서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inurl은 키워드가 포함된 다양한 사이트를 보여준다는 차이점이 있다.

 

 

특수기호를 이용한 구글링

"키워드"
예) 인공지능 "교육" -> 교육이라는 단어가 반드시 포함된 결과를 보여줌
-키워드
예) 몸에 좋은 과일 -배 -> 몸에 좋은 과일 중 배를 제외한 검색결과
키워드1 and 키워드2
예) 사과 and 포도 -> 사과와 포도가 둘 다 들어간 검색결과
키워드1 OR 키워드2
예) 사과 OR 포도 -> 사과 혹은 포도 하나만 들어가도 결과를 보여줌
*
예) *카드 ->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부분을 대체한 결과를 보여줌 

특수기호: "", -, and(AND), OR, *

 

and와 OR을 사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글링을 해봤는데 and와 AND의 검색결과는 똑같았고, or과 OR은 검색결과는 달랐다. OR은 반드시 대문자로 사용해야 적용되는 것 같다.

 

and 명령어는 서로 관련 없는 단어를 서치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과 '사과'를 함께 검색할 때, 그냥 '인공지능 사과'를 검색하면 구글에서는 인공지능과 사과가 둘 다 들어간 결과를 상단에, 그 다음 인공지능 혹은 사과만 포함된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인공지능 AND 사과'를 검색하면 인공지능과 사과가 전부 포함된 결과를 보여준다.

 

""와 and는 키워드가 하나의 주체인지 떨어져 있는 별개의 단어인지를 판단하여 사용한다. '고양이 코골이'를 검색하고 싶을 때, "고양이 코골이"는 고양이의 코골이를 중점으로 검색하지만, '고양이 AND 코골이'는 그냥 '고양이'와 '코골이'라는 단어 2개가 들어간 결과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명령어들은 함께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2013~2015년에 youtube에 업로드 된 고양이 코골이 영상을 검색할 때:

 

명령어를 잘 조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어보자!

 

 


[참고 사이트]

https://support.google.com/websearch/answer/2466433?hl=ko&ref_topic=3081620&sjid=2757758705176989472-NC 

https://seo.tbwakorea.com/blog/google-search-operators/